
**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클라라 주미 강]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 2016년 2월 15일 (월) 저녁 8시
2. 장소 : 예술의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예술의전당 월드 프리미어 시리즈
<클라라-주미 강 & 조나단 켈리 그리고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
“바이올린 퀸 클라라-주미 강”의 화려한 귀환!
세계 유수의 바이올린 콩쿠르를 휩쓸며 세계적인 거장 지휘자들과 활발하게 협연중인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주미 강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오보에 수석이자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오보이스트 조나단 켈리. 그리고 세계 최정상 오케스트라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주요 멤버들로 구성된 실내악단인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이 오랜만에 다시 우리 곁을 찾아온다. 오는 2월 15일 월요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릴 이번 음악회는 세계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최고의 아티스트와 연주단체를 초청, 국내 음악계에 수준 높은 연주를 소개하는 무대인 <예술의전당 월드 프리미어 시리즈>의 일환이다.
클라라-주미 강의 예술의전당 데뷔 20주년과 “보러오라 1988!”
이번 예술의전당 월드 프리미어 시리즈 공연에는 두 가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우선 2016년은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주미 강의 예술의전당 데뷔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년 전 어린 소녀로 예술의전당 무대에 처음 섰던 클라라-주미 강이 어느덧 성숙한 연주자로 성장하여 예술의전당을 다시 찾는다. 또한 이번 공연이 열리는 2월 15일은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일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1988년 2월 15일에 개관한 예술의전당은 특별한 이벤트를 마련하였다. 예술의전당 개관연도인 1988년에 출생한 관객과 연도에 상관없이 생일이 2월 15일인 관객에게 이번 예술의전당 월드 프리미어 시리즈 공연을 40% 할인된 가격으로 볼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한다.
3년 만의 내한, 다재다능한 세계 최고의 오보이스트 조나단 켈리!
이번에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과 함께 공연하는 조나단 켈리는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인 베를린 필의 오보에 수석으로 한국과는 인연이 매우 깊다. 2010년 영국의 버밍엄 시티 오케스트라 내한공연으로 한국과 처음 인연을 맺은 조나단 켈리는 2013년 베를린 필 클라리넷 수석인 벤젤 푹스와 함께 내한하여 진주 유스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한국의 어린 학생들에게 희망을 심어주었다. 이어 같은 해 지휘자 사이먼 래틀이 이끄는 베를린 필의 내한공연에 오보에 수석으로 참여하여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며 한국 관객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조나단 켈리는 특출한 오보
에 실력 외에도 다양한 재능을 가진 음악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본격적으로 오보에를 전공하기 전에는 영국 최고의 명문사학인 캠브리지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였으며 성악을 배운 적도 있다. 특히 성악 테크닉은 오보에 테크닉에도 많은 도움을 주며 최대한 노래하듯이 오보에를 연주하려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 베를린 필의
주요 멤버들로 구성된 최고의 앙상블,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
1995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 중 바로크 음악에 남다른 열정을 가진 주요 멤버들이 모여 결성한 실내악 앙상블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은 17, 18세기 바로크 음악의 작품 해석에 있어 독보적인 위치에 있으면서 많은 연주와 다수의 음반출시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바흐와 비발디 등 유명 바로크 작곡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그 동안 잊혀졌다거나 과소평가 되어 온 작곡가들의 작품을 발굴, 소개하는 작업에도 남다른 열정을 기울여왔다.
베를린 필의 경우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을 비롯하여 12첼리스트, 베를린 필 목관8중주단, 베를린 필 브라스 앙상블 등 실내악단 10여 개가 꾸준히 개별적인 음악회를 열며 활동을 하고 있으며 오케스트라 속의 오케스트라로 뛰어난 실력을 가진 단원들의 교향곡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엿볼 수 있다. 특히 그 중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은 가장 뛰어난 시대악기 연주단체의 사운드를 들려준다고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의 작품들을 발굴하는 등 학구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2005년 바흐 칸타타 녹음으로 그 해 그래미상 수상과 2001년, 2002년 텔레만 협주곡으로 독일 Phono Akademi에서 수여하는 Echo Klassik Preis 수상 쾌거를 이루어내는 등 최고의 앙상블이 선사하는 고음악의 진수를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2014년 그 감동 그대로…역시 바로크!
2014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관객들에게 충격과 감동을 선사했던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이 이번 공연에서는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J. S. 바흐와 그의 둘째 아들인 C. Ph. E. 바흐, 그리고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최고봉인 비발디의 작품들을 연주할 예정이다. 특히 클라라-주미 강이 솔로 연주를 맡은 비발디의 사계 중 “겨울”을 비롯하여 J. S. 바흐의 두 대의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협주곡 d단조(악장 다니엘 게데, 클라라-주미 강), 조나단 켈리와 클라라-주미 강이 함께 연주하는 J. S. 바흐의 오보에, 바이올린, 현을 위한 협주곡 d단조, 비발디의 오보에, 바이올린, 현을 위한 협주곡 B 장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최상의 무대를 통해 바로크 음악의 정수를 느껴 볼 수 있는 특별한 무대가 될 것이다.
***바이올린 클라라 주미 강, Clara-Jumi Kang_Violin
독일에서 활동하던 한국인 음악가 가정에서 태어난 클라라 주미 강은 세 살에 바이올린을 시작하여 이듬해 네 살, 최연소 나이로 만하임 국립음대 예비학교에 입학해 발레리 그라도프를 사사했고 이후 뤼베크 음대에서 자크하르 브론에게 배웠다. 일곱 살에 전액 장학금을 받고 줄리어드에 입학해 도로시 딜레이를 사사하였으며, 열여섯 살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하여 김남윤 교수를 사사하며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다.
2010년 센다이 바이올린 콩쿠르 우승에 이어, 같은 해 인디아나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과 동시에 다섯개의 특별상을 수상하는 등 주요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그에 앞서 2009년 서울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우승, 2009년 하노버 국제바이올린 콩쿠르 2위 입상, 2007년 티보 바가바이올린 콩쿠르 입상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올렸다.
클라라 주미 강은 어린나이에 이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함부르크 교향악단, 키엘 필하모니, 니스필하모니, 아틀란타 교향악단, 서울시향, KBS 교향악단, 코리안 쳄버 앙상블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여섯 살에는 독일 잡지 ‘디 자이트’에 ‘신동’으로 소개된 커버기사가 실렸는데, 이미 다섯 살에 함부르크 교향악단과 데뷔연주를 가진 상황이었다. 아홉 살에는 텔덱 레이블에서 베토벤 삼중협주곡과 솔로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녹음하였다.
최근 그는 독주 연주자로서 자신의 입지를 세우며,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정기적으로 협연해오고 있다. 드레스덴 카펠졸리스텐, 뉴저지 교향악단, 인디아나폴리스 교향악단, 산타페 교향악단, 도쿄 메트로폴리탄 오케스트라, 나고야 필하모니, 센다이 필하모니, 히로시마 교향악단, 카나자와 오케스트라, 타이페이 국립 교향악단, 모스크바 필, 서울시향, KBS 교향악단, 부천시향, 수원시향 같은국내외 최고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2011년에는 세계최고의 클래식 음반레이블인 데카 (DECCA)에서에른스트 ‘마지막 장미’, 슈베르트 ‘마왕’, 이자이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등을 수록한 그녀의 첫 번째 솔로 앨범<모던 솔로 Modern Solo>가 발매되었다.
2011/12년 시즌에는 카네기 홀 (스턴 오디토리움)에서의 리사이틀을 포함하여 미국에서 다수의 오케스트라 협연과 리사이틀을 가졌고 국내 투어와 함께 아시아 전역에서 활동하였다.
2013/14년 시즌에도 미국과 유럽, 아시아 전역에서 활발히 활동했는데 주요 연주
로 서울시향 (정명훈 지휘)과의 한국투어, 산토리 홀에서 도쿄 메트로폴리탄 오케스트라, KBS 교향악단 (요엘 레비 지휘), 타이페이 교향악단 (길버트 바르가 지휘)과의 협연이 포함된다. 특히 2014년에는 비엔나 챔버 오케스트라와의 투어를 포함해,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생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유리 테미르카노프와도 협연하였다. 2015/16년 시즌에는 크레머라타 발티카/기돈 크레머, 모스크바 비르투오지/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 마린스키 오케스트라/발레리 게르기에프, 뉴 재팬 필하모닉/하르트무트 핸첸, 서울시향/리오넬 브링귀에, 베를린 바로크 솔로이스츠, 마카오 필하모닉/류 지아, 쾰른챔버 오케스트라/크리스토프 포펜과 협연할 예정이다.
실내 음악에 대한관심 역시 매우 높아최근 정경화, 정명화, 지안 왕, 고티에 카푸송, 초량 린, 막심 리자노프, 폴 노이바우어 같은세계적인 연주자와 함께연주하였고, 대관령 국제음악제에도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2년, 한국의 유력지인 동아일보가 마련한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되었고, 국제 무대에서 거둔주목할 만한 연주 성과를 인정받아 ‘2012년 대원음악상’과 더불어 2013년에는 4년 만에 부활한 ‘금호음악인상’을 수상하였다.
클라라 주미 강은 현재 뮌헨에 거주하며, 삼성문화재단의 후원으로 1708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ex-Moeller’를 사용하고 있다.
***오보에 조나단 켈리, Jonathan Kelly_Oboe
캠브리지대학교 역사학도였던 조나단 켈리는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첼리아 니클린을,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에서 모리스 부르그를 사사하였다. 1993년 영국 버밍엄 시티 오케스트라(City Orchestra of Birmingham)의 수석 오보에주자가 되어 2003년까지 활동하였다. 버밍엄에 있을 때부터 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Chamber Orchestra of Europe)와 정기적으로 공연하였고 버밍엄, 카디프, 시카고, 헬싱키, 비엔나 등지에서 협연자로도 활동하였다. 2003년 베를린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오보에 수석이 된 이후로 Berlin Philharmonic Winds의 멤버로 활동해 오고 있다.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_Berliner Barock Solisten
전 세계에 수많은 바로크 앙상블이 존재하지만,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만큼 완벽한 원전 연주를 선보일 수 있는 앙상블은 드물다. 1995년 라이너 쿠스마울을 비롯한 베를린 필하모닉의 주요 단원들에 의해 창단된 이래, 17~18세기 바로크 음악 연주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왔다. “베를린 바로크 솔로이스트” 라는 이름에
걸맞게 모든 연주자들이 수석 솔리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주하는 곡에 따라 다양한 시대의 악기를 현대적으로 변형해 연주한다. 이들이 가히 독보적이라 할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유연성뿐만 아니라, 언제나 한결같은 연주를 선보이고 있으며 원전 음악의 본고장 출신 솔리스트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원전 음악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음악으로 해석해낸다. 그 결과 인위적인 “현대화”가 가미되지 않은, 현대적인 해석이 탄생한다. 베를린 바로크 솔리스텐은 이러한 특별한 작품 해석으로 14년이 넘게 전세계적으로 관객과 언론의 찬사를 받으며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도쿄에서 베를린, 런던, 뉴욕으로 이어지는 콘서트마다 “솔로이스트”들은 깊은 인상을 남기며 점점 더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루체른 페스티벌 등 국제적인 클래식음악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활약하고 있다. 현재 이들의 활동을 기록한 다수의 CD가 발매되어 있다. 토마스 크바스토프, 크리스티네 셰퍼, 도로테아 뢰슈만, 엠마누엘 파후드, 알브레히트 마이어, 모리스 스테게르, 안드레아스 슈타이어 등 정기적으로 협연하는 유명 연주자들의 수준 높은 연주도 또 다른 인기의 비결이다. 한국에서는 2014년 2월, 플루티스트 엠마누엘 파후드와 함께 했던 서울 예술의전당 공연이 대성공을 거두며 클래식 음악팬들 사이에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악장 · 음악감독 다니엘 게데_Violin and Director
다니엘 게데는 독일 바이올리니스트로 함부르크에서 출생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토마스 브란디스(베를린), 막스 로스탈(스위스), 조지프 긴골드(미국)를 사사하였다. 뉴욕 아티스트 인터내셔널 콩쿠르 입상으로 1992년 카네기홀에서 공연을 갖는 등 장학금 및 다양한 상을 수상하였다.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런던 신포니아, 폴란드 챔버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솔로로 협연했으며, 클라우디오 아바도, 리카르도 무티, 마이클 틸슨 토마스 등의 지휘자와도 함께 연주를 하였다. 실내악 연주에도 적극적인 그는 피아니스트 수에수 리우, 첼리스트 율리우스 베르거와 “세실 트리오”를, 나탈리아 구트만, 마리아 조앙 피레스, 폴 토르틀리에와 함께 “게데 트리오”를 올리버 트리엔들, 폴커 야콥센, 구스타브 리비니우스와 “타무즈 콰르텟”을 결성하기도 하였다. 도이치 그라모폰, CPO, 크로스 스테이트, 타체트, 라르고, 소니 등과 다수의 음반을 발매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프랑스 디아파종 금상을 수상했다.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빈 필하모닉의 악장을 역임하였으며, 2000년에는 뉘른베르크 음악 대학 교수가 되었고 세계 여러 도시에서 마스터클래스를 열어 왔다. 2013년부터 요미우리 니폰 심포니 오케스트라 악장을 맡고 있다.
#프로그램
C. Ph. E. 바흐 오보에와 현을 위한 협주곡 B♭장조 Wq 164
C. Ph. E. Bach Concerto for Oboe and Strings in B♭ Major Wq 164
(Ob: 조나단 켈리)
J. S. 바흐 두 대의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협주곡 d단조 BWV 1043
J. S. Bach Concerto for Two Violins and Strings in d minor BWV 1043
(Vn : 다니엘 게데 & 클라라-주미 강)
A. 비발디 “사계” 중 ‘겨울’
A. Vivaldi Violin Concerto in f minor RV 297, "L'inverno"
(Vn: 클라라-주미 강)
Intermission
A. 비발디 오보에, 바이올린, 현을 위한 협주곡 B♭장조 RV 548
A. Vivaldi Concerto for Oboe, Violin and Strings in B♭ Major RV 548
(Ob: 조나단 켈리, Vn: 다니엘 게데)
A. 비발디 네 대의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협주곡 F장조 RV 567
A. Vivaldi Concerto for Four Violins and Strings in F Major RV 567
(Vn: 클라라-주미 강, 게데, 오를로프스키, 마치다)
J. S.바흐 오보에, 바이올린, 현을 위한 협주곡 d단조 BWV 1060
J. S. Bach Concerto for Oboe, Violin and Strings in d minor BWV 1060
(Ob: 조나단 켈리, Vn: 클라라-주미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