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까르미뇰라]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 2015년 10월 31일 (토) 저녁 8시
2. 장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3. 초대인원 : 10쌍 (1인 2매, 총 20매)
4. 작품설명 :
이탈리아에서 온 고품격 사운드
“원전연주”의 진수를 보여준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 & 줄리아노 까르미뇰라 내한공연]
(Venice Baroque Orchestra & Giuliano Carmignola Concert)
이탈리아의 원전악기 전문단체인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Venice Baroque Orchestra)가 오랜 음악적 파트너인 바이올리니스트 줄리아노 까르미뇰라(Giuliano Carmignola)와 함께 내한한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 & 줄리아노 까르미뇰라 내한공연은 오는 10월 31일(토)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줄리아노 까르미뇰라의 내한공연은 2010년 공연 이후 5년 만에 성사된 공연으로, 그 간의 세월간 더욱 더 원숙해진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에서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는 장기인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음악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잘 공연되지 않는 17세기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프란체스코 제미니아니(Francesco Geminiani)의 ‘라 폴리아(La Folia)’까지 바로크 음악의 진수를 선보인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는 바로크 학자 겸 하프시코드 연주자 안드레아 마르콘(Andrea Marcon)에 의해 설립된 바로크 시대 음악의 전문 연주 단체로, 그 동안 북아메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을 펼칠 바이올리니스트 줄리아노 까르미뇰라는 90년대 이후 특히 바로크 연주에 있어 세계적으로 호평 받아왔으며,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와도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정기적으로 투어 공연을 가지며 환상적인 호흡을 자랑한 바 있다.
<아티스트 소개>
***오케스트라 /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Venice Baroque Orchestra)
1997년 바로크 학자 겸 하프시코드 연주자 안드레아 마르콘(Andrea Marcon)에 의해 설립된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Venice Baroque Orchestra, 이하 VBO)는 바로크 시대 음악의 연주에 주력하는 단체로써, 그 동안 북아메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일본, 한국, 중국 투어 등을 통해 많은 대중들에게 호평 받아왔다.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는 그 어떤 바로크 오케스트라들 보다 많은 미국 도시들의 투어 공연을 가졌으며, 아시아 지역에도 공연을 펼쳐온 바 있다.
17-18세기 레퍼토리를 재해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면서 프란체스코 카발리(Francesco Cavalli)의 오리온(L’Orione),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의 ‘아테네(Atenaide)’, ‘자유의 안드로메다(Andromeda Liberata)’, 베네디토 마르첼로(Benedetto Marcello)의 ‘아도니스의 죽음(La morte d’Adone)’ ‘시와 음악의 승리(Il trionfo della poesia e della music)’, 루이지 보케리니(Luigi Boccherini)의 ‘클레멘티나(Clementina)’를 공연했으며, 라 페니체 극장에서는 도메니코 치마로사(Domenico Cimarosa)의 ‘올림피아드(L’Olimpiade)’, 게오르그 프레드리히 헨델(George Fredric Handel) ‘시오레(Siore)’, 발다사레 갈루피(Baldassare Galuppi)의 올림피아드(L’Olmpiade)를 공연한 바 있다. 또한 스위스의 TV 다큐멘터리인 ‘비발디 인 베니스(Vivaldi in Venice)’를 비롯해 BBC, ARTE, 네덜란드 NTR, NHK 등에 출연하였다.
2013-14시즌에는 카운터테너 필립 자루스키(Philippe Jaroussky)와 함께 유럽, 미국, 아시아를 아우르는 대규모 투어공연을 펼쳤다. 같은 시즌 콘트랄토(Contralto) 마리-니콜 르뮤(Marie-Nicole Lemieux)와 프랑스, 벨기에에서 연주하기도 했으며, 첼리스트 고티에 카푸숑(Gautier Capucon)과 비엔나 무지크페어라인(Musikverein)에서 공연하는 등 세계 정상급 솔리스트의 음악적 파트너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매우 보기 드문 바로크 앙상블로서,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는 작곡가 필립 글래스(Philip Glass)의 바이올린 협주곡 ‘The American Four Seasons’을 초연했다. 또한 2014-15시즌에는 만돌리니스트 아비 아비탈(Avi Avital)과 함께한 도이치 그라모폰 레이블의 앨범이 발매되었으며, 앨범 발매와 함께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독일, 멕시코, 미주 투어를 진행한다.
VBO는 또한 디아파종 도르(Diapason d’Or)와 에코 클래식 어워드(Echo Klassik Award), 에디슨 어워드(Edison Award), 르 몽드 라 뮈지크(Le Monde de la Musique)의 ‘Choc’ 등 권위 있는 클래식 음악상을 석권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VBO는 이탈리아 트레비소의 카사마르카 재단(Foundazione Cassamarca)의 후원을 받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 줄리아노 까르미뇰라(Giuliano Carmingnola)
“18세기의 비르투오소 레퍼토리는 ‘까르미뇰라 이전’과 ‘지금’으로 나뉜다. 그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Mario Messinis (Director of Venice Conservatory)
50여년 전 비발디 르네상스의 근원지인 이탈리아 트레비소에서 태어난 까르미뇰라는 그의 아버지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베니스 콘서바토리에서 루이지 페로(Luigi Ferro)를 사사했으며, 1970년부터 국내외 유수의 콩쿠르에 입상하며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이탈리아 시에나의 키자나 음악원(Accademia Chigiana)에서 명 바이올리니스트인 나단 밀스타인(Nathan Milstein), 프랑코 쥴리(Franco Gulli)를 사사했으며, 제네바 콘서바토리(Geneva Conservatory)에서 헨리크 셰링(Henyrk Szeryng)을 사사했다.
클라우디오 아바도, 쥬세페 시노폴리 등의 명 지휘자들과 협연했으며, 앙리 뒤튀에(Henri Dutilleux)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초연하기도 했다. 2001년에는 모차르트 페스티벌로 미국 무대에 데뷔하였으며, 이듬해에는 BBC 프롬스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바로크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후에도 그는 모차르트와 후기 레파토리를 탐색하는 작업을 계속했다.
최근 그와 음악적 활동을 함께하는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Venice Baroque Orchestra)와 지휘자 안드레아 마르콘(Andrea Marcon)은 2004년 미국 투어에서 크게 호평 받았으며, 그 이후 매년 유럽과 아메리카, 일본, 한국 투어를 함께 하고 있다. 까르미뇰라는 이외에도 콘체르토 쾰른(Concerto Koln), 샹제리제 오케스트라(Orchestre des Champs-Elysees)등과 꾸준히 협업해오고 있다.
2004년 볼로냐에서 클라우디오 아바도, 오케스트라 모차르트(Orchestra Mozart)와 3년여에 걸쳐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주, 녹음하는 프로젝트를 3년여에 걸쳐 진행한 바 있으며, 2007년에는 바흐의 브란덴브루크 협주곡으로 투어공연을 가진 바 있다.
2003년 줄리아노 까르미뇰라는 세계적인 음반사인 도이치 그라모폰(Deutsche Grammophon)/아르히브 프로덕션(Archiv Produktion)와 계약을 체결하였다. 줄리아노 까르미뇰라의 데뷔 앨범 [Concerto Veneziano] 역시 베니스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안드레아 마르콘과 함께 녹음했으며, 비발디의 알려지지 않았던 5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세계 최초로 녹음하기도 했다.
줄리아노 까르미뇰라는 현재 볼로냐 은행 재단(Foundazione Cassa di Risparmio)으로부터 스트라디바리(Stradivari) “Baillot”를 대여 받아 사용하고 있다.
#프로그램
F. GEMINANI Concerto grosso in D minor “La follia” (after A. Corelli Op. Vn.12)
Adagio ? Allegro ? Adagio ? Vivace ? Allegro? Andante ? Allegro ?
Adagio?Adagio ? Allegro ? Adagio ? Allegro
A. VIVALDI Concerto in E minor, for strings and basso continuo,
?Il favorito”, RV277
Allegro, Andante, Allegro
J. S. BACH Concerto in E major, for violin, strings and basso continuo, BWV 1042
Allegro, Adagio, Allegro assai
*Intermission*
J. S. BACH Concerto in G minor for violin, strings and continuo, BWV 1056
Allegro, Larco, Presto
J. S. BACH Concerto in A minor, for violin, strings and basso continuo, BWV 1041
(Allegro moderato), Andante, Allegro assai
A. VIVALDI Concerto in D major, for strings and basso continuo,
?Il Grosso Mogul“, RV208
Allegro, Andante, Allegro
** 프로그램은 출연자의 사정에 따라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