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베토벤]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
2014년 2월 17일 (월) 저녁 8시 캐서린 조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2014년 2월 20일 (목) 저녁 8시 미아 정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014년 2월 21일 (금) 저녁 8시 피터 비스펠베이 베토벤 첼로 소나타
★원하시는 공연을 정하셔서 신청해주세요★
2. 장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1 COMPOSER, 3 INSTRUMENTS, 3 DAYS 3일간의 베토벤 소나타 시리즈
캐서린 조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미아 정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피터 비스펠베이 베토벤 첼로 소나타
2014년 2월, 단 3일간의 베토벤 소나타 시리즈가 펼쳐진다. 17, 20, 21일 3일에 걸쳐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진행되는 이번 공연은 단 3일 동안 베토벤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소나타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이다. 연주자의 면면도 화려하다. 에이버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 수상자이자 정경화, 강효와 함께 줄리어드 바이올린 교수인 바이올리니스트 캐서린 조가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를, 뉴욕타임즈가 ‘눈부신 기교와 비범치 않은 통찰력’이라 극찬한 커티스 음대 교수 미아 정이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를, 세계 정상의 첼리스트이자 두 번의 베토벤 소나타 음반 모두 화제를 몰고 왔던 피터 비스펠베이가 베토벤 첼로 소나타를 연주한다.
베토벤은 총 55 곡의 소나타를 작곡했고, 이들은 기술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소나타 형식이 지닌 표현 가능성의 극한을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피아노 음악의 신약성서라 불리며, 바이올린 소나타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동격의 2중주로 만든 작품으로 바이올린의 특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통주저음을 담당하던 보조적 역할의 첼로는 베토벤 첼로 소나타를 통하여 독주 악기로 격상되었다.
베토벤의 전 생애에 걸쳐 작곡된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소나타를 감상하는 이번 공연은 베토벤 음악 인생 전체를 조명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1. 단 3일. 오직 베토벤 소나타
베토벤은 한 사람의 음악가로서나 음악사에 남긴 작품만 생각하더라도, 전무 후무의 대 음악가였다고 할 수 있다. 그가 남긴 공적 중 하나로 소나타 형식의 완성을 꼽을 수 있는데, 그는 총 55 곡의 소나타를 작곡했고, 이들은 기술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소나타 형식이 지닌 표현 가능성의 극한을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베토벤의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는 구약성서라고 불리는 J.S.바흐의 평균율 피아노곡집에 대하여, 피아노음악의 신약성서로 불리고 있다. 10개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동격의 2중주로 만든 작품으로 바이올린의 특성을 극대화하였다. 첼로 소나타는 베토벤 이전 시기에 통주저음을 담당하던 보조적 역할의 첼로를 독주 악기로 끌어올린 작품이다.
베토벤이 남긴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소나타를 3일 동안 감상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주어졌다.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작곡된 이 곡들을 감상하는 것은 그의 음악 인생 전체를 조명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2. 학구적인, 그리고 매우 전문적인
이번 베토벤 소나타 시리즈에 투입된 연주자들은 ‘학구적’이요, ‘전문적’이라 표현할 수 있다.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를 연주할 캐서린 조는 정경화, 강효와 함께 미국 최고 명문 음대인 줄리어드의 한국계 교수이다. 에이버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를 수상했고, 몬트리올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최연소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고전음악에 특히 큰 애착과 강점을 드러내는 그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으로 미국과 아시아 투어를 진행하였다. 이번에 함께하는 로버트 맥도날드 역시 줄리어드 교수로 아이작 스턴, 미도리 등의 반주자로 이름을 날렸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를 연주할 미아 정은 커티스 음대 교수로 하버드, 예일, 줄리어드를 졸업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뉴욕타임즈가 ‘눈부신 기교와 비범치 않은 통찰력’이라고 극찬했듯이 이론과 연주를 겸비한 흔치 않은 연주자이다. 2008년 연주와 강의가 결합된 베토벤 소나타 연주 DVD를 발매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베토벤 첼로 소나타를 연주할 피터 비스펠베이는 두말할 것 없이 세계 최정상의 첼리스트이다. 그는 이미 1992년과 2005, 두 번에 걸쳐 베토벤 첼로 소나타를 녹음하였고, 이 중 2005년 음반은 뉴욕 타임즈 선정 ‘올해의 가장 주목할 만한 음반’으로 선정되었다. 링컨센터에서 있었던 비스펠베이의 베토벤 첼로 소나타 공연에서 뉴욕 타임즈는 ‘작은 몸짓 하나하나 그의 깊은 통찰력에서 나왔다’고 그의 깊이 있는 연주를 극찬했다.
***[ARTIST PROFILE]
17일_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바이올린 | 캐서린 조 Catherine Cho, violinist
미시간 주의 앤 아버에서 태어난 바이올리니스트 캐서린 조는 4세 때 처음 바이올린을 시작했다. 11세에 덴마크의 코펜하겐에서 티볼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데뷔한 그녀는 16세 때인 1987년 몬트리올 콩쿠르에 처음 출전, 우승하여 화제를 뿌린다. 이 소식을 접한 줄리어드 음악학교의 명교수 도로시 딜레이는 직접 전화를 걸어 자신의 문하로 들어올 것을 권했다. 바흐, 베토벤, 모차르트, 브람스 등 고전음악에서부터 바르톡, 코른골드, 베르그 등 현대 음악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자랑하는 그녀는 일찍이 뉴욕 타임즈로부터 ‘독특한 음색을 가진 연주자’라고 호평 받기도 하였다.
지난 2002년에는 조안 팔레타 지휘의 버팔로 필하모닉과 함께 한 비발디 사계 공연이 PBS를 통해 미 전역에 방송되어 화제를 일으켰다. 또한 캐서린 조는 실내악 주자와 솔리스트로서의 활동에도 의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알리스 툴리홀에서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와 함께 훌륭한 무대를 선보이기도 하였고, 실내악의 세계적인 꽃인 말보로 뮤직 페스티발에 정기적으로 초청되어 연주를 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더욱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 도쿄의 카잘스 홀, 워싱턴 DC의 케네디 센터 등에서 연주하였고, 라비니아 페스티발의 ‘떠오르는 스타시리즈’에 초청되었으며, 또한 미국과 한국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열기도 하였다.
1991년 하노버 국제 바이올린 경연대회 우승을 비롯,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경연대회 파가니니 상(1990), 퀸 엘리자베스 국제 음악 경연대회(1989), 그리고 제19회 몬트리올 국제 음악 경연대회(1987)등 굵직한 국제대회에서 두루 입상을 하여 일찍부터 그 가능성을 인정 받았다. 1994년에는 ‘우수한 음악도에게 수여되는 Sony ES상’을 수상하였으며, 1988년에는 백악관에서 미대통령이 수여하는 대통령 예술 장학금(Presidential Scholar in the Arts)을 받기도 했다. 1995년에는 몬트리올 국제 바이올린 경연대회의 최연소이자, 첫 한국인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또 한번의 화제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저명한 에이버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의 1995년 수상자로 선정되어 세계의 이목을 다시 한번 주목시켰으며, 같은 해 ‘미래를 이끌어갈 세계리더 상(World Leaders of Tomorrow Award)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으며, 현재 뉴욕에 거주하며 줄리어드 교수로 재직중이다.
피아노 | 로버트 맥도날드 Robert McDonald, pianist
피아니스트 로버트 맥도널드는 독주자이자, 실내악 연주자로서 미국, 유럽, 아시아, 남미를 포함, 전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연주자이다. 그는 아이작 스턴의 반주자로서 수년간 함께 하였고, 말보로, 카잘스, 루체른 페스티벌과 링컨 센터 실내악 페스티벌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타카치 콰르텟, 베르미어, 줄리어드, 브렌타노, 보로메오, 어메리칸, 상하이, 세인트 로렌스 콰르텟 등과 같은 세계적인 실내악단과 연주하였다.
로버트 맥도널드는 부조니 콩쿠르 금메달을 비롯하여 윌리엄 카펠 콩쿠르 우승 등 국제 콩쿠르에서도 입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는 로렌스 대학을 졸업하고, 커티스 음악원과, 줄리어드 음악원, 맨하튼 음대에서 수학하였으며, 테오도오 렐, 세이모어 립킨, 루돌프 제르킨, 호르조프스키, 게리 그라프만 등을 사사하였다.
1999년부터 줄리어드 음악원 교수르 재직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커티스 음악원의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뉴 멕시코의 실내악 페스티벌의 예술감독 겸 타오스 음악원의 예술감독이기도 하다.
[PROGRAM]
17일_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베토벤
L.v Beethoven
바이올린 소나타 1번 in D Major
Violin Sonata No. 1 in D Major
바이올린 소나타 10번 in G Major
Violin Sonata No. 10 in G Major
바이올린 소나타 7번 in c minor
Violin Sonata No. 7 in c minor
----------------------------------------------------------------------------
20일_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 | 미아 정 Mia Chung, pianist
“발랄하고 씩씩하면서도 재기와 웃음으로 가득 찬 빠른 악장은 베토벤 해석의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미아 정의 연주는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완전히 음악에 몰입되는 놀라운 경험이다.“ -The GRAMOPHONE
1997년 애브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상(Avery Fisher Career Grants)을 수상한 미아 정은 하버드와 예일, 줄리어드를 졸업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로 학구적이고 지적인 연주로 정평이 나 있다. 그녀는 하버드에서 음악이론과 음악사를 전공했고 예일대학에서 실기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줄리어드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렇다고 단지 이론에만 밝은 학자 타입은 아니다. 그녀는 "고도의 테크닉과 뛰어난 음악성, 거기에 청중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특별한 마력의 연주자"의 발굴을 목적으로 하는 미국 뉴욕의 콘서트 아티스트 길드 콩쿠르의 93년 우승자이다. 88년 이후 무려 5년간이나 비어있던 우승자리를 차지하는 영광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 미아 정은 또한 ITT Corporation Prize와 Channel Classics prize, U.S Trust Award에서도 우승하며 이론과 연주 모두에서 완벽한, 흔치 않은 연주가임을 인정받았다.
1964년 미국의 위스콘신에서 태어나 워싱턴에서 성장한 미아정은 일곱살에 피아노를 시작했다. 불과 5년 후에는 볼티모어 심포니와 협연하였고, 18세가 되던 해 워싱턴 D.C 아메리카 홀에서 데뷔 리사이틀을 했다. 볼티모어 심포니와 또 한번의 공연을 가진바 있는 미아 정은 내쇼널 심포니와 뉴 헤븐 심포니와도 협연했다. 그녀는 워싱턴, 보스톤, 뉴 헤븐, 팜 비치, 잭슨빌리, 토레도, 시카고 등 세계유명 콘서트 홀에서 자주 리사이틀 무대를 만들고 있으며 1994년 카네기 홀의 웨일 리사이틀 홀에서 뉴욕 데뷔무대를 가졌다.
또한, 미아정은 미국의 예술대사로 93년 구소련(카자흐스탄과우즈베키스탄 그리고 터크메니스탄)에서 공연한 최초의 미국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이어 타일랜드, 싱가폴, 통가 등에서 성공적인 순회공연을 갖기도 했다. 2008년 베토벤 소나타 연주 DVD를 발매하여 평단의 극찬을 받는 바 있는 그녀는 1991년부터 메사추세츠의 고든 칼리지의 교수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커티스 음악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일_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PROGRAM]
베토벤
L.v Beethoven
바가텔 25번 in a minor Wo0 59 <엘리제를 위하여>
Bagatelle No. 25 in a minor, Wo0 59 “Fur Elise”
피아노 소나타 8번 in c minor, Op. 13 <비창>
Piano Sonata No. 8 in c minor, Op. 13 “Pathetique”
피아노 소나타 28번 in A Major, Op. 101
Piano Sonata No. 28 in A Major, Op. 101
론도 카프리치오 in G Major, Op. 129 <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
Rondo a Capriccio in G Major, Op. 129 “Rage Over a Lost Penny”
피아노 소나타 21번 in C Major, Op. 53 <발트슈타인>
Piano Sonata No. 21 in C Major, Op. 53 “Waldstein”
----------------------------------------------------------------------------
***[ARTIST PROFILE]
21일_ 베토벤 첼로 소나타
피터 비스펠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