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서울바로크합주단]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 2013년 1월 30일(수) 저녁 8시
2. 장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2013년 새해도 한국 실내악단의 대명사인
서울바로크합주단과 함께 !
서울바로크합주단이 그 동안의 연주에서 보여드린 무대와는 전혀 다른 획기적인 변신으로, 대편성 오케스트라와 초호화 “World-Wide Soloist” 로 구성된 화려한 무대가 선보여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애정으로 서울바로크합주단을 후원해주신 후원회원과 팬들에게 2013년 더욱 화려해진 “신년음악회”를 선사합니다.
지난해 신년음악회의 뜨거운 열기 그대로!!
보다 많은 볼거리와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공연개요]
프로그램
<제1부>
R. Wagner - Overture from Opera
오페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중 서곡
P. de Sarasate - Zigeunerweisen Op. 20 지고이네르바이젠 Violin 조가현
S. Rachmaninoff -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43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Piano Ksenia Kogan
<제2부>
G. Ph. Telemann - Konzert 텔레만 협주곡 - Pan Flute Horea Crishan
J. Last - A Morning in Cornwall (With Orchestra) 콘월의 아침 - Pan Flute Horea Crishan
F. Wildhorn - ‘This is The moment’ from Musical
지킬 앤 하이드 중 ‘지금 이순간’ 양준모
E. Morricone - Nella Fantasia 넬라 판타지아 최주희
A.L. Webber - ‘All I ask of you’ from
오페라의 유령 중 ‘나의 바람은 그것 뿐‘ 양준모/최주희
G. Verdi - Overture from Opera 오페라 ‘나부코’ 중 서곡
출연
음악감독/리더: 김 민
초청지휘 : 게르트 헤르클로츠 Gerd Herklotz
피아노 : 크세니아 코간 Ksenia Kogan
팬 플룻 : 호레아 크리산 Horea Crishan
바이올린 : 조가현
테너 : 양준모
소프라노 : 최주희
Wagner 탄생 200주년, Verdi 탄생 200주년을 맞아 유명 오페라 서곡으로 2013년 새해의 첫 문을 열다!
2012년 1월에 오스트리아 정통 왈츠와 다채로운 축전음악으로 생동감 넘치는 신년음악회를 성황리에 마친 서울바로크합주단이 2013년 새해에도 더욱 특별해진 프로그램으로 여러분들을 찾아간다.
1965년 창단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챔버 오케스트라이자 해외초청 공연 115회를 돌파하는 등 압도적이고 탁월한 연주력을 자랑하는 서울바로크합주단(음악감독 김 민)이 오는 1월 30일(수) 저녁 8시 예술의전당에서 바그너 탄생 200주년과 베르디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바그너의 오페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서곡과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 서곡을 연주하며 웅장하게 새해의 포문을 연다. 이어서 화려한 기교와 음악성으로 세계를 사로잡고 있는 6인의 World-Wide Classic Star들이 꾸미는 갈라 콘서트 형식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2013 서울바로크합주단 신년음악회>를 개최한다.
2013년을 화려함으로 수놓는다.
이번 신년음악회의 부제는 “World-Wide Classic Star 초청연주회” 이다. 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2013년도 서울바로크합주단 신년음악회>는 그 어느 해보다 화려한 솔로 연주자들이 등장한다.
지난해 서울바로크합주단 신년음악회에서 생동감 넘치는 연주로 뜨거운 찬사를 받으며 첫 한국 무대를 장식하였던 독일 오페라 지휘자 Gerd Herklotz가 다시 한번 서울바로크합주단과 함께 뜻깊은 신년무대를 만든다. 제1부의 바그너의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서곡이 끝나면 현재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는 실력파 국내외 연주자들이 그들만의 화려한 음악세계를 보여줄 예정이다. 그 첫 번째 무대로 한국뿐 아니라 유수의 국제 콩쿠르를 석권하며 바이올린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는 조가현이 한국 청중들이 가장 사랑하는 클래식 바이올린 대표곡인 사라사테의 <지고이네르바이젠>을 연주한다. 이 곡은 특별한 설명이 필요없을 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작품으로 음악을 잘 모르는 청중이 듣기에도 그 강렬함과 집시 특유의 서정적인 애잔함이 단연 돋보이는 곡이다. 그 뒤를 이어서 탁월한 기교와 넘치는 음악적 끼로 청중을 매료시키고 있는 러시아 태생의 피아니스트 Ksenia Kogan 이 서울바로크합주단과 함께 야심차게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를 들려준다. 이번 무대가 한국 첫 데뷔무대인 그녀의 연주에서 희망차고 아름다운 신년의 느낌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음악, 신비로움과 감미로움을 넘나들다!
이어질 제2부는 독특하고 감미로운 음악의 향연으로 꾸며진다. 한국 클래식 무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팬 플릇 연주를 유럽 팬 플릇의 거장 호레아 크리산의 연주로 들려드리며 한국 뮤지컬 사상 가장 많은 러브콜을 받은 곡, 지킬 앤 하이드의 ‘지금 이 순간’과 오페라의 유령의 ‘나의 바람은 그것뿐’ 을 테너 양준모와 소프라노 최주희의 감미로운 목소리로 들려준다.
특히 팬 플릇 연주는 유럽에서 수많은 갈라 콘서트의 주역으로 각광받고 있는 호레아 크리산의 한국 첫 연주무대로 꾸며진다. 마음 깊은 곳의 감정까지도 불러일으키는 듯한 탁월한 음악적 교감능력을 보여주는 그의 팬 플릇 연주는 우리의 마음에 청아하고 신비로운 평화로움을 선사할 것이다. 테너 양준모와 소프라노 최주희는 한국 뮤지컬계의 스타적 존재로 그들이 부르는 뮤지컬 앙상블은 클래식 음악과는 또 다른 듣는 즐거움을 우리에게 선물할 것이다.
상상을 초월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새해의 설레임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꾸며질 이번 <2013 서울바로크합주단 신년음악회>는 오는 1월 30일(수) 저녁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 출연자 소개 Artist Profile ]
서울바로크합주단 (Korean Chamber Orchestra)
1965년 故전봉초 서울대 교수에 의해 시작된 서울바로크합주단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챔버 오케스트라로 세계적인 거장 작곡가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와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김영욱이 예술고문으로 있다.
2010년 창단 45주년을 맞이한 합주단은 1999년 파리 유네스코 회관, 2000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의 공연을 통해 ‘유엔 공식 평화의 실내악단’으로 지정 받았으며 지금까지 총 국내외 450여 회가 넘는 공연을 소화해냈다.
2010년 6월 핀란드 공연으로 역사적인 해외초청공연 100회를 달성했으며, 지금까지 21개국 115회 해외공연을 통해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내악 오케스트라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2015년까지 독일, 루마니아, 이태리, 프랑스, 폴란드, 영국 등 수차례의 해외 초청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음악감독 / 김 민
우리 음악계에서 가장 다채로운 경력을 자랑하는 바이올리니스트로 꼽히는 김 민은 뛰어난 예술적 감각을 지닌 솔로이스트로, 탁월한 리더쉽을 가진 실내악단의 리더로, 섬세한 배려를 보여주는 음악교육자로 이미 그의 활동 범위는 세계무대를 어우르고 있다.
김 민은 서울예고, 서울대 음대,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함부르크 N.D.R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베를린 라디오 심포니에서 활약하다가 귀국하여 1980년 서울바로크합주단을 재조직?재창단하여 오늘날 이를 한국 실내악단의 대명사로 만들었다.
비에냐프스키 국제콩쿨, 차이코프스키 주니어 국제콩쿨, 동아 국제 음악 콩쿨, 센다이 국제 음악 콩쿨, 독일 레오폴트 모차르트 콩쿨, 마르크노이키르헨 국제 콩쿨, 차이나 국제 바이올린 콩쿨, 퀸 엘리자베스 콩쿨 등의 심사위원을 역임하였고, 2011년 마르크노이키르헨콩쿨과 2012년 퀸 엘리자베스 콩쿨의 심사위원으로 재초청 받았다.
서울대 음대 학장(1999-2005, 서울대 최초 3선 학장)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3-2007)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정회원, 서울대 음대 명예교수이자 서울바로크합주단 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지휘 / 게르트 헤르클로츠
독일 작센 글라스휘테 출생의 헤르클로츠는 베를린과 독일 동부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우리 시대의 명 지휘자이다. 그는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주립 극장, 뉴 베르스팔렌 필하모닉, 예나 필하모니와 함께 프라이부르크 주립극장 무대에 섰다. 2004/2005년 시즌 베를린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임명, 2006년엔 수석 지휘자에 오른다.
2005/2007/2009년 시즌, 베를린젠다르멘 마르크트 콘서트홀에서 앙상블 유나이티드 베를린과 함께 칼 아마데우스 하르트만의 오페라 <심플리키우스 심플리키씨무스>를 연주했다. 또한 보흐슬라프 마르티누의 작품을 비롯해 무성 영화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의 음악을 맡아 베를린 콘서트홀에서 모던 아트 앙상블과 함께 녹음하였다. 2008년 11월 에르푸르트 오페라 하우스에서 프란츠 훔멜의 <판사와 집행자>를 초연하였고, 베를린 뉴 신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로 교향곡, 오페라, 오페레타 등 다양한 작품을 이끌었다.
피아노 / 크세니아 코간
크세니아 코간은 현재 러시아의 떠오르는 신예이다. 러시아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난 크세니아 코간은 어렸을 때부터 뛰어난 음악가들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 그녀는 지휘자, 작곡가, 연주자, 성악가 더 나아가 재즈 연주자 등 수많은 분야의 음악가들로부터 깊은 음악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그녀의 다채로운 연주 스타일을 쌓는데 더없이 좋은 기반이 되었다. 크세니아 코간은 2008년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음악원을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그 후 2년간 벨기에의 Chapelle Musicale Reine Elisabeth에서 공부하였다. 그녀는 이탈리아의 “Grand Premio Europeo Mendelssohn" 과 미국 달라스의 ”Viaedo 국제 피아노 콩쿨“, 멕시코의 ”Parnassos 국제 피아노 콩쿨“, 그리고 체코의 ”Virtuosi permusica di pianoforte" 등의 국제음악콩쿨을 석권하였다. 그녀는 베니스의 “La Fenice” 홀, 브뤼셀의 “Palais des Beaux Arts” 홀, LA의 월트 디즈니 홀, 룩셈부르크의 “Salle Philharmonique” 홀 등등 전세계 유명한 홀에서 연주한 수많은 연주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줄리안 코바치브, 월터 웰러, 크리스토프 웨런 그린, 디크 브로세, 마이클 컷맨 등의 유명한 지휘자 및 러시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리스본 메트로폴리탄 오케스트라, 브뤼셀 챔버 오케스트라 등의 유명 오케스트라들과 작업하며 본인만의 음악적 명성을 쌓고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음반작업과 전세계 유명 페스티벌의 초청 그리고 격조 높은 공연을 선호하는 유럽 왕실들의 끊임없는 연주 러브콜을 받고있는 크세니아 코간은 현재 떠오르는 러시아 음악가 중 한 명이 분명하다.
판 플릇 / 호레아 크리산
호레아 크리산은 처음 바이올린으로 음악을 시작하였다. 1974년 뛰어난 실력으로 독일 함부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인 NRD의 단원이 된 그는 매 연주마다 뛰어난 지휘자 및 연주자들과 교감하면서 본인의 음악에 더욱 다양한 혼을 실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음악적 배경에 더하여 1979년 새로이 시작된 판 플릇에 대한 호레아 크리산의 깊은 열정은 그를 단숨에 수많은 나라의 갈라 콘서트에서 선호하는 판 플릇 연주자로 떠오르게끔 만들었다. 그는 다년간의 오케스트라 연주로 얻은 정확함과 마음 속 깊은 곳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듯한 탁월한 음악적 교감능력으로 매우 특별한 자신만의 색채를 가진 연주자로 자리매김하였다.
바이올린 / 조가현
바이올리니스트 조가현은 10세에 코리안 심포니와 브르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전악장을 협연함으로 데뷔무대를 가졌고 금호 문화재단의 금호 영재 1호 출신,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한민국 대표 영재 50인(2004)에 선정되었다. 국내에서 이화경향, 한국음악, 국민, 난파, 동아일보 콩쿠르 등을 모두 1위로 석권하였으며 막스 로스탈 국제 콩쿠르 1위 및 청중상, 워싱턴국제콩쿠르 1위, 뉴 인터내셔널 뮤직 페스티벌 국제콩쿠르 1위, 레오폴트 모차르트 국제콩쿠르 2위, 영 콘서트 아티스트 국제 오디션 2위, 브레시아 국제 콩쿠르 2위 및 현대곡 특별상 등으로 국제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었다. 서울예고와 서울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New England Conservatory 석사학위와 연주자과정을 취득 후 현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미도리 교수의 제자로 최고 연주자 과정에 있는 그녀는 미도리로부터 ‘남다른 음악성의 소유자로 그녀의 음악은 사람들의 심장의 중심에 다가간다.’ 는 평을 받으며 차세대를 이끌어가는 연주자로 주목 받고 있다.
테너 / 양준모 (뮤지컬 배우)
뮤지컬 배우 양준모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국립음악원에서 수학하였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성악과 및 단국대 대중문화예술대학원(석사)을 졸업하였다.
연극 ‘아일랜드’와 영화 ‘R2B 리턴 투 베이스’, ‘광해-왕이 된 남자’ 등에 출연하였으며, ‘내 영혼 바람되어’라는 제목의 음반을 내기도 하였다.
그는 ‘마술피리’, ‘피가로의 결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등의 오페라에서 역할을 맡은바 있으며, 오페라 뿐만 아니라 ‘지킬 앤 하이드’, ‘오페라의 유령’, ‘영웅’, ‘스위니 토드’, ‘삼총사’, ‘명성황후’ 등의 뮤지컬에서 주연을 맡으며 풍부한 성량과 혼신을 다한 연기로 관객들의 뜨거운 박수와 환호를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또한 KBS 신작가곡대회 대상, 제1회 예그린 어워즈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뮤지컬 스쿨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소프라노 / 최주희 (뮤지컬 배우)
소프라노 최주희는 서울대 음대를 졸업한 후, 줄리어드 음대 대학원을 졸업(석사)하였다.
시어터 월드상(Theater World Award) 신인여우상을 수상(뮤지컬 ‘왕과 나’의 텁팀 역)하였으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콩쿨 뉴저지주 지역 우승, 로렌 재커리 소사이어티 성악콩쿨 1등, 리치아 알바네제-푸치니재단 국제콩쿨 3등, 코네티컷 오페라 길드 스칼라십 콩쿨 1등, 리더 크란츠재단 콩쿨 우승, 하이다 헤르만스 인터내셔널 영 아티스츠 컴페티션 1등. 파이브 타운 뮤직 & 아트 파운데이션 컴페티션 1등의 화려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 중 신전의 수호자 역으로 LA 오페라에서 데뷔한 이후로 <장미의 기사>, <라 보엠>, <마술피리>등 여러 오페라의 주역을 맡았다. 오페라뿐만 아니라 브로드웨이에서 로저스 & 해머스타인의 리바이벌 뮤지컬 <왕과 나>의 텁팀 역, 한국에서는 뮤지컬 <캣츠>의 그리자 벨라 역,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마리아 역,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마리아역, <오페라의 유령>의 칼롯타 역 등에 출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