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카잘스 페스티벌]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및 장소 - 2013년 2월 27일(수) 저녁 8시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2013년 3월 1일(금) 오후 5시 고양아람누리 하이든홀 - 2013년 3월 2일(토)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 초대인원 : 각 2쌍씩 총 6쌍 (1인 2매, 총 12매) 3. 작품설명 : 실내악의 정점(頂點) 카잘스페스티벌 인 코리아 세계최고(最古)의 실내악축제 카잘스 페스티벌이 실내악의 정점을 보여드립니다. 카잘스페스티벌은 박애주의와 음악에 대한 헌신을 주제로 첼리스 트 파블로 카잘스에 의해 프랑스의 휴양도시 프라드(Prades)에서 1952년 시작된 60년의 전통 있는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되고 명성있는 실내악축제입니다. 카잘스는 1939년 고국 스페인의 독재정권에 대항해 첼리스트이자 지휘자로서의 공식적인 연주활동을 접었지만 당시 유명 바이올리 니스트 알렉산더 슈나이더 등 연주자들은 그의 뜻을 존경하면서 도 안타까워했습니다. 그들은 1950년 카잘스를 찾아가 바흐 서거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그 수익을 그의 고국 스페인의 망명자들을 위한 병원에 기증하자고 그를 설득했 으며 이를 계기로 카잘스는 페스티벌을 시작함과 동시에 연주를 재개하게 되었고 카잘스페스티벌은 지금까지 그 뜻을 이어받아 박애주의와 음악에 대한 헌신을 주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 한 카잘스페스티벌은 아이작 스턴, 로스트로포비치, 요요마, 피에 르 푸르티에, 자크린느 뒤프레, 다니엘 바렌포임, 루돌프 제르킨, 박하우스, 백건우 등 전설적 음악가들이 참여해 온 권위 있는 음 악제로서, 유럽의 실내악 축제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작곡가 류재준에 의해서 창립된 앙상블 오푸스의 2011년 카잘스 음악제 공식 초청을 시작으로 시작된 연계는 2012년 카잘스페스 티벌의 60주년을 기념하여 아시아권 국가로는 유일하게 카잘스 음악제의 최정예 멤버들과 앙상블 오푸스의 정상급 단원들과의 교류 음악제를 한국에서 가졌으며 수많은 청중들로부터 실내악 음악의 진수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13년은 카잘스페스티벌 인 코리아 두번째 무대로 참여 연주자 는 프라드 카잘스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이자 클라리네티스트인 미 셸 레티엑을 비롯하여 잉글리쉬체임버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를 역임하였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 랄프 고토니, 2012서울국제콩 쿠르 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변함없는 노장의 무르익은 테크닉 과 따뜻한 감수성을 지닌 바이올리니스트 제라드 뿔레, 피에르 푸 르티에의 후계자로 꼽히는 프랑스 첼리스트의 자존심 앙리 드마 르케트, 더불어 세계무대에 우뚝 서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 초인적인 명인기와 칼날 같은 해석으로 영국의 신성으로 떠오르 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소옥, 편안하고 호소력 있는 소리를 가 진 매력있는 첼리스트 백나영, 명인기적인 테크닉과 폭넓은 레퍼 토리로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비올리스트 아브리 레 비탄, 그리고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베이시스트 성민제 9인이 완벽한 하모니로 실내악의 극치를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공연 중 한국의 작곡가 류재준의 현악 사중주와 이신우의 클 라리넷 오중주가 연주되며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한 한국 현대음 악의 아름다움을 청중들에게 남김없이 보여줄 예정입니다. 2013 카잘스페스티벌인코리아 Schedule 2. 26(화) 대구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2.27 (수) 의정부예술의전당 3.1 (금) 고양아람누리 하이든홀 3. 2 (토)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013 Program 2. 26 (화) 대구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Shinuh Lee Sextet for Clarinet, 2 violin, viola, cello and contrabasse Mozart Clarinet Quintet A Major K.581 Intermission Dvorak Piano Quintet A Major K.81 2. 27 (수) 의정부예술의전당 Rossini Duetto per cello e contrebasso Mozart Piano Quartet in G minor, K478?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5mn Intermission Ryu String Quartet Bernstein Suite of West Side Story Piazzola Tangos 3.1 (금) 고양 아람누리 하이든홀 Rossini Duetto per cello e contrebasso Mozart Piano Quartet in G minor, K478?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Intermission Ryu String Quartet Bernstein Suite of West Side Story Piazzola Tangos 3.2 (토)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Shinuh Lee Sextet for Clarinet, 2 violin, viola, cello and contrabasse Mozart Clarinet Quintet A Major K.581 Intermission Dvorak Piano Quintet A Major K.81 연주자 소개 예술감독/클라리넷 : 미셸 레티엑 _ Michel Lethiec , Clarinet 클라리네티스트 미셸 레티엑은 아르토 노라스, 길 샤함, 유리 바 쉬메트, 예후디 메뉴힌 같은 정상급 기량의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 했으며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잉글리쉬 체임버 오케 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 연했다. Lyrinx, Arion, RCA, Bis, Talent, Actes Sud와 같은 유명 레 이블에서 20여 종의 음반을 발매했으며, 특히 졸리베의 작품 “Asceses”와 풀레, 리와 함께 연주한 바르톡의 작품 “Contrast” 음 반으로 두 차례 프랑스의 권위 있는 클래식 음반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파리 국립고등음악원과 니스 콘서바토리 교수 재직 중이며 프라드 파블로 카잘스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 이다. 예술감독/ 작곡가: 류재준 _ Jeajoon Ryu , Composer 작곡가 류재준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크라코프 음악원 을 졸업했으며 두 학교에서 한국과 폴란드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강석희와 크쉬 스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다. 2002년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타악기를 위한 파사 칼리아 (Pasaclaia for Percussion)"를 시작으로 2006년 폴란드 라보 라토리움 현대음악제의 위촉으로 발표한 바이올린 협주곡 1번으로 유럽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2008년 3 월 폴란드 루드비히 반 베토벤 음악제에서 연주된 "진혼교향곡(Sinfonia da Requiem)" 으로 그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는데 이 날 연주에서는 현대음악으로는 보기 드 물게 전 관중이 이 작품에 기립박수를 보냈다. 주요작품으로 첼로 협주곡(2010), 타 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2002), 바이올린협주곡(2006), ‘진혼교향 곡’(2007), 바이올린 소나타 ‘봄’(2008), 현악을 위한 샤콘느(2008), 피아노 트리오 ‘초여름’(2009), 첼로협주곡(2010) 등이 있다. 류재 준은 서울국제음악제와 앙상블 오푸스의 예술감독을 역임하였으 며, 현재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작곡가와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2007년부터 낙소스(NAXOS)와 계약하여 출반되고 있 다. 바이올린 : 제라드 뿔레 _ Gerard Poulet , Violin 어릴 적부터 음악 신동으로 알려진 제라드 뿔레는 그의 아버지인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 가스통 뿔레(Gaston Poulet)로 부터 많 은 영향을 받았다. 11세의 나이에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에 입학하 여 2년 동안 만장일치로 1위를 수상하였고 18세에 제노바 파가니 니 국제 콩쿠르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면서 수많은 연주회와 함 께 그의 이름은 전세계에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정신적 지주였 던 헨릭 쉐링을 비롯한 지노 프란체스카티, 예후디 메뉴인, 나단 밀슈타인 등의 대가를 사사하였고 이후 세계 무대를 석권하였다. 파리 오케스트라,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스트라스부르, 릴, 보 르도, 리옹의 국립오케스트라, 이태리 투린의 RAI 오케스트라, 프 라하 방송 교향악단, 베이징 심포니, 슈투트가르트 체임버 오케스 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국제무대에서 활약 하고 있는 그는 동시에 뛰어난 이 시대의 교육자 중 하나이다. 현재 일 본 쇼와 음악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첼로 : 앙리 드마르케트_ , Cello Henri Demarquette 거장 피에르 푸르니에의 후계자로 뽑히는 프랑스 첼리스트 앙리 드마르케트는 13살에 파리 국립 고등음악원에서 수학하였다. Phillippe Muller에게서 첼로를, Genevieve Joy에게서 실내악을 사 사한 후 미국에서 Paul Tortellier와 Pierre Fournier, 그리고 Janos Starker를 사사했다. 파리(1991), 헬싱키(1991) 등 국제 콩쿨에서 1위로 입상하는 쾌거를 올렸으며 공로를 인정받아 아카데미데보 자르에서 주는 le Prix de la Fondation Simone et Cino del Duca 을 수상하기도 했다. 드마르케트는 세계 각국의 여러 음악 페스티발에 솔로이스트로서 도 참가하였으며 다수의 주목할 만한 CD 레코딩을 하였는데, 이 중에는 Orchestre de Chambre de Toulouse와 함께 한 하이든 콘체 르토, 바흐 무반주 조곡, 그리고 J. Francaix의 첼로와 오케스트라 를 위한 현대곡 등이 포함된다. 그의 음반인 “The Romantic Cello"는 프랑스 잡지 Le Monde de La Musique의 가장 주목할 만한 음반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비올라 : 아브리 레비탄_ Avri Levitan, Viola 루빈 아카데미 콩쿠르에서 1위, 파리국립고등음악원의 실내악 음 악 콩쿠르 1위 등을 수상하면서 뛰어난 솔리스트로 평가 받았던 비올리스트 아브리 레비탄은, 2009 BBC Music Magazine Awards에 지명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베를린 필하모니 홀, 비 엔나 콘체르트하우스, 도쿄 오지홀과 카잘스홀 등 세계적으로 유 명한 콘서트 홀에서 정기적으로 연주를 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였 다. 아마데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 노르딕 심포니 오케스트라, 러시아 키예프 내셔널 필하모닉, 폴란드 라돔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과 함께 협연한 그의 연주는 독일의 ZDF, NDR 방송, 이스라엘 과 스웨덴, 폴란드, 코스타 리카 라디오 및 국립방송을 통해 방영 되기도 하였다. 특히 2004년 일본 후지 라디오에서의 라이브 콘서 트는 ’The Strad’ 에서 격찬의 리뷰를 받았다. 솔로이스트로서뿐만 아니라 인정받는 실내악 연주자로서 세계적인 페스티벌에 참여하 고 있는 그는 2012 Royal Philharmonic Society Awards 지명되었다. 바이올린 : 백주영 _ Ju-Young Baek , Violin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은 2005년부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최연소 교수로서 후 진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서울예술고 2학년 때 미국 커티스 음악 원으로 도미한 백주영은 1995년부터 시벨리우스, 파가니니, 롱티 보, 퀸 엘리자베스, 인디애나폴리스, 서울 국제 콩쿠르 등을 석권 하며 한국을 빛내었으며, 2000년 YCA 국제 오디션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서 도약하였다. 그녀는 런던 필하모닉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NHK 심포니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 라와 뉴욕의 카네기 홀, 링컨 센터, 동경의 산토리 홀 등 세계 주 요 무대에서 협연과 독주회를 가져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KBS 교향악단, 부천시향, 서울시향, 서울 바로크 합주단 등과의 협연 및 전국 순회 초청 독주회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실내 악에 대한 사랑도 깊은 백주영은 미국 말보로 페스티벌, 일본 쿠 사츠 음악제 등에서의 초청 연주 및 세종 솔로이스츠의 리더로 활 약한 바 있으며, 현재 앙상블 오푸스의 리더로 활발하게 활동 중 이다. 바이올린 : 김소옥 _ So-Ock Kim , Violin 1982년 서울에서 출생한 김소옥은 3세 때 영국으로 건너간 후 15 세에 최연소로 Shell/LSO 경연에서 금메달을 수여 했다. 이즈하크 라쉬코프스키와 펠릭스 안드리에프스키, 그리고 1994년부터 데이 비드 타케노를 사사한 그녀는 영국을 포함한 세계의 무대에서 대 단한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그녀의 재능은 독주뿐 아니라 실내악 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위그모어홀, 로얄 페스티벌 홀, 퀸 엘리 자베스 홀 등의 영국의 주요 콘서트 홀뿐 아니라 미국, 아시아, 유 럽, 남미까지 세계의 주요 연주 홀 및 펜데레츠키 음악제, 몽펠레 음악제, 폴란드 베토벤 이스터 페스티벌, 슐레스비히 홀스타인, 라비니아, 알데부르그 페스티벌 등지에서 초청 연주회를 가졌다.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로열필하모니 오케스트라, 프랑스 필하 모니 오케스트라, 베오그라드 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방송 교향 악단과 협연한 그녀는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와 세계 연주 투어 를 마친바 있다. 첼로 : 백나영 _ , Cello 1999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한 백나영 은 2000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미국 데뷔무대를 장식했다. 허드슨밸리필하모닉, 뒤파쥬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교향악단 등 다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독일의 라 인가우 국제음악제에서 바로크 합주단과 하이든 협주곡 D장조의 협연하였으며, 말보로 국제음악제 등 세계 유수의 페스티벌에서 미치코 우치다, 리차드 구드, 과르네리 콰르텟, 아이작 스턴, 게리 호프만 등 저명한 연주자들과 함께 공연하였다. 커티스 음대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한 백나영은 예일대학에서 알도 파리소를 사사, 줄리어드에서 연주자과정을 이수, 줄리어드 음대에서 졸업 시 가장 촉망받는 연주자에게 주어지는 Aldo Parisot Prize를 수상하였다., 뉴욕 스토니브룩 음악대학에서 콜린 카르의 지도하에 26세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뉴저지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피아노 : 랄프 고토니 _Ralf Gothoni , Piano 핀란드 출신 음악가 랄프 고토니는 현재 스페인에 거주하며 피아 니스트, 실내악 연주자, 지휘자로서 다방면에 걸쳐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잘츠부르크, 베를린, 프라하, 올드버러, 에든 버러, 라 로크 당테롱, 라비니아, 탱글우드와 같은 유명 음악제에 참여하였고, 시카고 심포니, 디트로이트 심포니, 토론토 심포니, 베를린 필하모닉, 바르샤바 필하모닉, 바이에른 라디오 심포니, 재팬 필하모닉,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와 같은 세게 유수의 오 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현재에도 매년 협연자인 동시에 건반 앞 의 지휘자로서 다수의 무대에 서고 있으며, 주요 실내악 음악제에 정기적으로 초청받고 있다. 또한 그는 세계 정상급 챔버오케스트 라인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2000~2009)를 역 임했다. 그는 1994년 클래식 음악계의 가장 영예로운 상 중 하나로 꼽히는 ‘길모어 아티스트 어워드’를 수상하였고, 오스트리아 문화부로부 터 슈베르트 메달을 수여 받았다. 랄프 고토니는 음반 녹음 활동 도 활발히 펼쳐 100장 이상의 음반을 BIS, DECCA, EMI 등 유명 음 반사에서 발매하였다. 베이시스트 : 성민제 _Minje Sung , 2006년, 만16세에 세계적 권위의 슈페르거 더블베이스 국제 콩쿨 을 석권한 베이시스트 성민제는, 이듬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 그에서 열린 쿠세비츠키 더블베이스 콩쿨에서 연거퍼 우승하며, 국내외 관계자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이후 프로페셔널 연주자 로서의 길을 걷고 있는 그는 독일 뮌헨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현재 세계 더블베이스계의 핫 이슈이다. 그는 이미 프로활동을 하고 있던 중 2011년 제46회 독일 마르크노 이키르헨 국제 콩쿠르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2위에 입상을 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금호문화재단의 영재콘서트를 통해 음악영재로 발굴 되었으며 국내 해외파견 음협 콩쿠르 베이스부분 최연소우승과 부산콩쿠르 최연소우승을 비롯한 국내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했다 . 또한 2009년 4월 첫 번째 음반
이번 주 초대 공연을 안내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월~금 생방송 도중 #9390(50원 유료문자)으로 신청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당첨자 분들께 따로 연락드리겠습니다.
[마감] 2/27(수) 외 카잘스 페스티벌 인 코리아
비회원
2013.01.21
조회 568
** 공연 신청은 <공연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제목 말머리 [카잘스 페스티벌] 달고 신청 사연 남겨주세요 ** 1. 일시 및 장소 - 2013년 2월 27일(수) 저녁 8시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2013년 3월 1일(금) 오후 5시 고양아람누리 하이든홀 - 2013년 3월 2일(토)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 초대인원 : 각 2쌍씩 총 6쌍 (1인 2매, 총 12매) 3. 작품설명 : 실내악의 정점(頂點) 카잘스페스티벌 인 코리아 세계최고(最古)의 실내악축제 카잘스 페스티벌이 실내악의 정점을 보여드립니다. 카잘스페스티벌은 박애주의와 음악에 대한 헌신을 주제로 첼리스 트 파블로 카잘스에 의해 프랑스의 휴양도시 프라드(Prades)에서 1952년 시작된 60년의 전통 있는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되고 명성있는 실내악축제입니다. 카잘스는 1939년 고국 스페인의 독재정권에 대항해 첼리스트이자 지휘자로서의 공식적인 연주활동을 접었지만 당시 유명 바이올리 니스트 알렉산더 슈나이더 등 연주자들은 그의 뜻을 존경하면서 도 안타까워했습니다. 그들은 1950년 카잘스를 찾아가 바흐 서거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그 수익을 그의 고국 스페인의 망명자들을 위한 병원에 기증하자고 그를 설득했 으며 이를 계기로 카잘스는 페스티벌을 시작함과 동시에 연주를 재개하게 되었고 카잘스페스티벌은 지금까지 그 뜻을 이어받아 박애주의와 음악에 대한 헌신을 주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 한 카잘스페스티벌은 아이작 스턴, 로스트로포비치, 요요마, 피에 르 푸르티에, 자크린느 뒤프레, 다니엘 바렌포임, 루돌프 제르킨, 박하우스, 백건우 등 전설적 음악가들이 참여해 온 권위 있는 음 악제로서, 유럽의 실내악 축제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작곡가 류재준에 의해서 창립된 앙상블 오푸스의 2011년 카잘스 음악제 공식 초청을 시작으로 시작된 연계는 2012년 카잘스페스 티벌의 60주년을 기념하여 아시아권 국가로는 유일하게 카잘스 음악제의 최정예 멤버들과 앙상블 오푸스의 정상급 단원들과의 교류 음악제를 한국에서 가졌으며 수많은 청중들로부터 실내악 음악의 진수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13년은 카잘스페스티벌 인 코리아 두번째 무대로 참여 연주자 는 프라드 카잘스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이자 클라리네티스트인 미 셸 레티엑을 비롯하여 잉글리쉬체임버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를 역임하였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 랄프 고토니, 2012서울국제콩 쿠르 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변함없는 노장의 무르익은 테크닉 과 따뜻한 감수성을 지닌 바이올리니스트 제라드 뿔레, 피에르 푸 르티에의 후계자로 꼽히는 프랑스 첼리스트의 자존심 앙리 드마 르케트, 더불어 세계무대에 우뚝 서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 초인적인 명인기와 칼날 같은 해석으로 영국의 신성으로 떠오르 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소옥, 편안하고 호소력 있는 소리를 가 진 매력있는 첼리스트 백나영, 명인기적인 테크닉과 폭넓은 레퍼 토리로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비올리스트 아브리 레 비탄, 그리고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베이시스트 성민제 9인이 완벽한 하모니로 실내악의 극치를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공연 중 한국의 작곡가 류재준의 현악 사중주와 이신우의 클 라리넷 오중주가 연주되며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한 한국 현대음 악의 아름다움을 청중들에게 남김없이 보여줄 예정입니다. 2013 카잘스페스티벌인코리아 Schedule 2. 26(화) 대구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2.27 (수) 의정부예술의전당 3.1 (금) 고양아람누리 하이든홀 3. 2 (토)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013 Program 2. 26 (화) 대구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Shinuh Lee Sextet for Clarinet, 2 violin, viola, cello and contrabasse Mozart Clarinet Quintet A Major K.581 Intermission Dvorak Piano Quintet A Major K.81 2. 27 (수) 의정부예술의전당 Rossini Duetto per cello e contrebasso Mozart Piano Quartet in G minor, K478?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5mn Intermission Ryu String Quartet Bernstein Suite of West Side Story Piazzola Tangos 3.1 (금) 고양 아람누리 하이든홀 Rossini Duetto per cello e contrebasso Mozart Piano Quartet in G minor, K478?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Intermission Ryu String Quartet Bernstein Suite of West Side Story Piazzola Tangos 3.2 (토)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Prokofiev Sextet, Overture on jewish themes Shinuh Lee Sextet for Clarinet, 2 violin, viola, cello and contrabasse Mozart Clarinet Quintet A Major K.581 Intermission Dvorak Piano Quintet A Major K.81 연주자 소개 예술감독/클라리넷 : 미셸 레티엑 _ Michel Lethiec , Clarinet 클라리네티스트 미셸 레티엑은 아르토 노라스, 길 샤함, 유리 바 쉬메트, 예후디 메뉴힌 같은 정상급 기량의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 했으며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잉글리쉬 체임버 오케 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 연했다. Lyrinx, Arion, RCA, Bis, Talent, Actes Sud와 같은 유명 레 이블에서 20여 종의 음반을 발매했으며, 특히 졸리베의 작품 “Asceses”와 풀레, 리와 함께 연주한 바르톡의 작품 “Contrast” 음 반으로 두 차례 프랑스의 권위 있는 클래식 음반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파리 국립고등음악원과 니스 콘서바토리 교수 재직 중이며 프라드 파블로 카잘스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 이다. 예술감독/ 작곡가: 류재준 _ Jeajoon Ryu , Composer 작곡가 류재준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크라코프 음악원 을 졸업했으며 두 학교에서 한국과 폴란드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강석희와 크쉬 스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다. 2002년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타악기를 위한 파사 칼리아 (Pasaclaia for Percussion)"를 시작으로 2006년 폴란드 라보 라토리움 현대음악제의 위촉으로 발표한 바이올린 협주곡 1번으로 유럽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2008년 3 월 폴란드 루드비히 반 베토벤 음악제에서 연주된 "진혼교향곡(Sinfonia da Requiem)" 으로 그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는데 이 날 연주에서는 현대음악으로는 보기 드 물게 전 관중이 이 작품에 기립박수를 보냈다. 주요작품으로 첼로 협주곡(2010), 타 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2002), 바이올린협주곡(2006), ‘진혼교향 곡’(2007), 바이올린 소나타 ‘봄’(2008), 현악을 위한 샤콘느(2008), 피아노 트리오 ‘초여름’(2009), 첼로협주곡(2010) 등이 있다. 류재 준은 서울국제음악제와 앙상블 오푸스의 예술감독을 역임하였으 며, 현재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작곡가와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2007년부터 낙소스(NAXOS)와 계약하여 출반되고 있 다. 바이올린 : 제라드 뿔레 _ Gerard Poulet , Violin 어릴 적부터 음악 신동으로 알려진 제라드 뿔레는 그의 아버지인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 가스통 뿔레(Gaston Poulet)로 부터 많 은 영향을 받았다. 11세의 나이에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에 입학하 여 2년 동안 만장일치로 1위를 수상하였고 18세에 제노바 파가니 니 국제 콩쿠르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면서 수많은 연주회와 함 께 그의 이름은 전세계에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정신적 지주였 던 헨릭 쉐링을 비롯한 지노 프란체스카티, 예후디 메뉴인, 나단 밀슈타인 등의 대가를 사사하였고 이후 세계 무대를 석권하였다. 파리 오케스트라,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스트라스부르, 릴, 보 르도, 리옹의 국립오케스트라, 이태리 투린의 RAI 오케스트라, 프 라하 방송 교향악단, 베이징 심포니, 슈투트가르트 체임버 오케스 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국제무대에서 활약 하고 있는 그는 동시에 뛰어난 이 시대의 교육자 중 하나이다. 현재 일 본 쇼와 음악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첼로 : 앙리 드마르케트_ , Cello Henri Demarquette 거장 피에르 푸르니에의 후계자로 뽑히는 프랑스 첼리스트 앙리 드마르케트는 13살에 파리 국립 고등음악원에서 수학하였다. Phillippe Muller에게서 첼로를, Genevieve Joy에게서 실내악을 사 사한 후 미국에서 Paul Tortellier와 Pierre Fournier, 그리고 Janos Starker를 사사했다. 파리(1991), 헬싱키(1991) 등 국제 콩쿨에서 1위로 입상하는 쾌거를 올렸으며 공로를 인정받아 아카데미데보 자르에서 주는 le Prix de la Fondation Simone et Cino del Duca 을 수상하기도 했다. 드마르케트는 세계 각국의 여러 음악 페스티발에 솔로이스트로서 도 참가하였으며 다수의 주목할 만한 CD 레코딩을 하였는데, 이 중에는 Orchestre de Chambre de Toulouse와 함께 한 하이든 콘체 르토, 바흐 무반주 조곡, 그리고 J. Francaix의 첼로와 오케스트라 를 위한 현대곡 등이 포함된다. 그의 음반인 “The Romantic Cello"는 프랑스 잡지 Le Monde de La Musique의 가장 주목할 만한 음반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비올라 : 아브리 레비탄_ Avri Levitan, Viola 루빈 아카데미 콩쿠르에서 1위, 파리국립고등음악원의 실내악 음 악 콩쿠르 1위 등을 수상하면서 뛰어난 솔리스트로 평가 받았던 비올리스트 아브리 레비탄은, 2009 BBC Music Magazine Awards에 지명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베를린 필하모니 홀, 비 엔나 콘체르트하우스, 도쿄 오지홀과 카잘스홀 등 세계적으로 유 명한 콘서트 홀에서 정기적으로 연주를 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였 다. 아마데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 노르딕 심포니 오케스트라, 러시아 키예프 내셔널 필하모닉, 폴란드 라돔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과 함께 협연한 그의 연주는 독일의 ZDF, NDR 방송, 이스라엘 과 스웨덴, 폴란드, 코스타 리카 라디오 및 국립방송을 통해 방영 되기도 하였다. 특히 2004년 일본 후지 라디오에서의 라이브 콘서 트는 ’The Strad’ 에서 격찬의 리뷰를 받았다. 솔로이스트로서뿐만 아니라 인정받는 실내악 연주자로서 세계적인 페스티벌에 참여하 고 있는 그는 2012 Royal Philharmonic Society Awards 지명되었다. 바이올린 : 백주영 _ Ju-Young Baek , Violin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은 2005년부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최연소 교수로서 후 진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서울예술고 2학년 때 미국 커티스 음악 원으로 도미한 백주영은 1995년부터 시벨리우스, 파가니니, 롱티 보, 퀸 엘리자베스, 인디애나폴리스, 서울 국제 콩쿠르 등을 석권 하며 한국을 빛내었으며, 2000년 YCA 국제 오디션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서 도약하였다. 그녀는 런던 필하모닉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NHK 심포니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 라와 뉴욕의 카네기 홀, 링컨 센터, 동경의 산토리 홀 등 세계 주 요 무대에서 협연과 독주회를 가져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KBS 교향악단, 부천시향, 서울시향, 서울 바로크 합주단 등과의 협연 및 전국 순회 초청 독주회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실내 악에 대한 사랑도 깊은 백주영은 미국 말보로 페스티벌, 일본 쿠 사츠 음악제 등에서의 초청 연주 및 세종 솔로이스츠의 리더로 활 약한 바 있으며, 현재 앙상블 오푸스의 리더로 활발하게 활동 중 이다. 바이올린 : 김소옥 _ So-Ock Kim , Violin 1982년 서울에서 출생한 김소옥은 3세 때 영국으로 건너간 후 15 세에 최연소로 Shell/LSO 경연에서 금메달을 수여 했다. 이즈하크 라쉬코프스키와 펠릭스 안드리에프스키, 그리고 1994년부터 데이 비드 타케노를 사사한 그녀는 영국을 포함한 세계의 무대에서 대 단한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그녀의 재능은 독주뿐 아니라 실내악 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위그모어홀, 로얄 페스티벌 홀, 퀸 엘리 자베스 홀 등의 영국의 주요 콘서트 홀뿐 아니라 미국, 아시아, 유 럽, 남미까지 세계의 주요 연주 홀 및 펜데레츠키 음악제, 몽펠레 음악제, 폴란드 베토벤 이스터 페스티벌, 슐레스비히 홀스타인, 라비니아, 알데부르그 페스티벌 등지에서 초청 연주회를 가졌다.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로열필하모니 오케스트라, 프랑스 필하 모니 오케스트라, 베오그라드 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방송 교향 악단과 협연한 그녀는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와 세계 연주 투어 를 마친바 있다. 첼로 : 백나영 _ , Cello 1999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한 백나영 은 2000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미국 데뷔무대를 장식했다. 허드슨밸리필하모닉, 뒤파쥬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교향악단 등 다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독일의 라 인가우 국제음악제에서 바로크 합주단과 하이든 협주곡 D장조의 협연하였으며, 말보로 국제음악제 등 세계 유수의 페스티벌에서 미치코 우치다, 리차드 구드, 과르네리 콰르텟, 아이작 스턴, 게리 호프만 등 저명한 연주자들과 함께 공연하였다. 커티스 음대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한 백나영은 예일대학에서 알도 파리소를 사사, 줄리어드에서 연주자과정을 이수, 줄리어드 음대에서 졸업 시 가장 촉망받는 연주자에게 주어지는 Aldo Parisot Prize를 수상하였다., 뉴욕 스토니브룩 음악대학에서 콜린 카르의 지도하에 26세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뉴저지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피아노 : 랄프 고토니 _Ralf Gothoni , Piano 핀란드 출신 음악가 랄프 고토니는 현재 스페인에 거주하며 피아 니스트, 실내악 연주자, 지휘자로서 다방면에 걸쳐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잘츠부르크, 베를린, 프라하, 올드버러, 에든 버러, 라 로크 당테롱, 라비니아, 탱글우드와 같은 유명 음악제에 참여하였고, 시카고 심포니, 디트로이트 심포니, 토론토 심포니, 베를린 필하모닉, 바르샤바 필하모닉, 바이에른 라디오 심포니, 재팬 필하모닉,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와 같은 세게 유수의 오 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현재에도 매년 협연자인 동시에 건반 앞 의 지휘자로서 다수의 무대에 서고 있으며, 주요 실내악 음악제에 정기적으로 초청받고 있다. 또한 그는 세계 정상급 챔버오케스트 라인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2000~2009)를 역 임했다. 그는 1994년 클래식 음악계의 가장 영예로운 상 중 하나로 꼽히는 ‘길모어 아티스트 어워드’를 수상하였고, 오스트리아 문화부로부 터 슈베르트 메달을 수여 받았다. 랄프 고토니는 음반 녹음 활동 도 활발히 펼쳐 100장 이상의 음반을 BIS, DECCA, EMI 등 유명 음 반사에서 발매하였다. 베이시스트 : 성민제 _Minje Sung , 2006년, 만16세에 세계적 권위의 슈페르거 더블베이스 국제 콩쿨 을 석권한 베이시스트 성민제는, 이듬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 그에서 열린 쿠세비츠키 더블베이스 콩쿨에서 연거퍼 우승하며, 국내외 관계자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이후 프로페셔널 연주자 로서의 길을 걷고 있는 그는 독일 뮌헨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현재 세계 더블베이스계의 핫 이슈이다. 그는 이미 프로활동을 하고 있던 중 2011년 제46회 독일 마르크노 이키르헨 국제 콩쿠르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2위에 입상을 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금호문화재단의 영재콘서트를 통해 음악영재로 발굴 되었으며 국내 해외파견 음협 콩쿠르 베이스부분 최연소우승과 부산콩쿠르 최연소우승을 비롯한 국내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했다 . 또한 2009년 4월 첫 번째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