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악산 화가, 김종학의 화업 60여년을 조망하는 대규모 회고전
3월 29일 ~ 6월 26일까지
과천 국립 현대 미술관
? 1950년대 초기작부터 최근까지 대표작 70여점 출품
? 화려한 색감과 분방한 표현력으로 한국의 자연을 묘사, 추상화의 열풍 속에서 일관되게 구상의 길을 걸어온 우리시대의 대표적 작가로서 위상 정립
2011년을 여는 첫 전시로 『김종학』전을 개최한다. 3월 29일부터 6월 26일까지 과천본관(제2전시실)에서 계속되는 이번 전시는 '설악산의 화가' 로 유명한 김종학의 50여년 의 화업을 조망하는 대규모 회고전이다.
해방 후 우리나라에 현대미술의 도입과 정착이 이루어지던 시기, 김종학은 화단의 추상회화 열풍 속에서 나와 설악산에 칩거하며 삼십년 동안 묵묵히 구상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 이번 회고전을 위해 1950년대 후반의 과도기적 실험작부터 설악산 시대가 시작되는 1970년대 말 이후 최근까지의 대표작 70여점이 엄선되었다.
고갱에게 타히티, 앤젤 아담스에게 요세미티가 있었다면 김종학에게는 설악이 있었다. 그의 설악산 시대는 1979년부터 시작되었다. 김종학이 설악산으로 들어간 것은 자연으 로의 회귀라기보다는 새로운 “화두를 찾아 나선 길”이었다. 전위적인 실험정신과 추상의 논리를 버리고 그가 선택한 것은 뜻밖에도 꽃과 풀, 산과 달, 바람과 물이었다. 그의 작품 속에서는 자연의 원초적 생명력과 작가의 힘찬 기운이 투쟁을 벌이고 있다. 나약하고 여성적인 꽃이지만 김종학이 붓을 휘두르면 울긋불긋한 꽃으로 뒤덮인 만화 방석(滿花方席)도 선이 굵은 남성적 풍경으로 변모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순령 학예연구사는 “작가가 추구하는 기운생동의 세계이자, 남성적 호쾌함이 넘치는 신명(神 明)의 세계”에 주목하였다고 말했다. 한편 속도감 넘치고 대담한 원색의 붓질로 자연의 강렬한 리얼리티를 포착하는 자신의 작업을 두고 김종학은“추상에 기초를 둔 새로 운 구상”회화라고 정의한다.
김종학의 풍경화는 설악산이라는 지리적 공간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나라의 산하, 넓게는 보편적인 자연의 모습을 담고 있다. 꽃, 풀, 새, 나비 등 작품의 소재는 캔버스 안 에서 총체적으로 융화되면서 거대한 자연의 노래를, 그 농밀(濃密)한 기운을 뿜어낸다. 자연을 벗 삼아 삶을 예찬하는 작가 김종학의 풍경은 그가 두 발 굳게 디디며 살고 있는‘땅의 정신’과 자연에 대한 송가이다. 그 호방한 기개와 터질듯한 원초적 생명력은 삭막한 회색도시를 배회하는 현대인들에게 감동을 주는 자연의 치유력을 발휘할 것 이다. 그리고 새로움의 충격이라는 말초적 자극에 중독되어 방향을 잃어버린 현대미술에 회화 본연의 힘을 제시할 것이다.
이번 전시는 모노크롬 추상 미학의 극단에 서서 한국현대미술의 또 다른 맥락을 일관되게 제시한 김종학의 작품세계의 진면목을 발굴, 정리하여 우리시대의 대표적 작가로서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기획되었다. 앞으로도 국립현대미술관은 선구적 작가들을 집중 조명하는 전시를 지속적으로 기획하여 한국현대미술사의 구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전시관련 교육 프로그램 및 문화행사-
o 큐레이터와의 대화
- 일시 : 4월 8일(금) 오후 3시 / 5월 13일(금) 오후 3시
- 장소 : 제2전시실
o 전시설명회
- 일시 : 평일 오후 2, 4시 / 주말 오후 2, 4, 6시
- 장소 : 제2전시실
o 좌담회: 김종학과 친구들 (김종학, 송영방, 김봉태, 윤명로, 김형국)
- 일시 : 4월 15일(금) 오후 3시~5시
- 장소 : 소강당 및 제2전시실
o 작가론 특강: 김종학을 말하다
- 이태호(명지대 교수) "한국의 전통색과 김종학의 채색화" 외 2인
- 일시 : 5월 11일(수) 오후 3시~5시
- 장소 : 소강당 및 제2전시실
o 수화 전시설명회
- 일시 : 전시기간 중 매주 화요일 (예약제 운영)
- 대상 : 청각, 언어장애인 및 지체장애인 (1회 20여명)
- 예약문의 : 교육문화팀 이은수 02-2188-6226
** 이 전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당첨된 분들은 5월12일~5월29일 사이에 관람 가능합니다.
'신청합니다' 게시판을 통해 참여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