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5년 역사의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이 들려주는 풍부한 선율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 내한공연
Prague Radio Symphony Orchestra
지휘자 : 페트르 브론스키 Petr Vronsky
피아노 : 콘스탄틴 쉐르바코프 Konstatin Scherbakov
일 시 : 2011년 5월31일(화)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6월 1일(수)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티켓가격 : VIP200,000원 R160,000원 S120,000원 A80,000원 B50,000원
예매 : 인터파크1544-1555, 티켓링크1588-7890, 옥션1566-1369, yes241544-6399
문의 : 브라보컴 (02)3463-2466
[ 전국연주일정 ]
5월29일(일) 오후4시, 부산시문화회관 (051)607-6057
5월31일(화)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544-1887
6월 1일(수)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544-1887
6월 2일(목) 오후7시30분, 노원문화예술회관 (02)951-3355
6월 4일(금) 오후7시30분, 구미문화예술회관 (054)451-3040
** 5월 31일과 6월 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이틀의 공연 모두에
청취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신청합니다' 게시판에 신청글을 올리실 때,
이틀의 공연 중에 어느날에 초대되고 싶으신지 꼭 함께 적어주세요.
관람일은 개별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므로,
반드시 관람 가능한 날을 확인하고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희망일이 적혀있지 않은 경우 당첨에서 제외되실 수 있습니다.
체코출신의 작곡가 드보르자크와 스메타나의 곡을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이 들려주는 풍부하고 아름다운 선율
체코 음악의 자존심이며 체코를 대표하는 교향악단이자 체코에서 가장 오래된 교향악단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은 체코 공화국의 대표 교향악단이자 가장 오래된 교향악단이다. 이들의 유구한 역사는 1926년 체코 라디오의 라디오 저널에서 방송되며 시작되었다.
설립자인 Josef Charvat와 몇몇 작곡가들, 그리고 지휘자 Otakar Jeremia?가 이 교향악단의 창단 초기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5년 이후, 오케스트라는 대형 심포니 오케스트라로 확대되었고, 훗날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이끌게 될 Karel An?erl와 지휘자 Alois Klima 같은 중요한 아티스트들이 합류했다. 이 방송교향악단은 1947년부터 정기적으로 프라하 봄 축제에서 연주하고 있으며, 1961년부터 세계 각지에 연주여행을 하고 있다. 1970년대는 체코 음악을 해석하는데 집중 했던 시대이다.
현대음악 또한 이 교향악단과 함께 중요한 위치 차지
Vaclav Talich, Vaclav Neumann, Libor Pe?ek, Charles Munch, Franz Konwitschny, Hermann Scherchen, Gennady Rozhdestvensky, Charles Mackerras 등이 협연자로 출연했으며,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부터 크리슈토프 펜데레츠키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을 통해 발표했다.(Sergei Prokofiev, Ottorino Respighi, Arthur Honegger, Aram Khachaturian, Ernst K?enek, Krzysztof Penderecki) 또한 현대 음악 또한 이 교향악단과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은 유럽 구석구석에 정기적인 게스트로 초대받고 있으며, 일본, 한국, 중국, 대만과 미국에서 공연을 가졌다. 또한 가브리엘라 베나츠코바, 에디타 그루베로바 등 유명한 솔리스트들과 협연하였다. (Gabriela Be?a?kova, Edita Gruberova, Eva Urbanova, Pierre Amoyal, Gautier Capucon, Ferruccio Furlanetto, Mischa Maisky, Raphael Oleg, Alexander Rudin, Wolfgang Emanuel Schmidt, Josef Suk, Viktor Tretjakov)
2009년에는 스페인,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부다페스트 봄 축제, 독일의 도시들에서 공연을 가졌다. 5월에는 제 64회 프라하 봄 축제에 출연하였고, 여름에는 체스키 크룸로프 국제 음악 축제에 출연하여 소프라노 르네 플레밍, 바이올리니스트 슐로모 민츠와 협연하였다.
쾌적한 사운드로 수많은 음반을 녹음하여 유럽과 세계의 청취자들에게 방송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은 정기적으로 라디오 방송과 음반 발매를 위해 녹음을 하여 수프라폰, 포니 캐년, 라디오서비스, 클라르톤 라벨로 발매하였다. 2004년에는 드보르작의 교향곡 전곡을, 2005년에는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전곡을 녹음하였다. 2006년에는 피아니스트 장 시몬(Jan Simon)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처음으로 바츨라프 얀 토마세크의 피아노 콘체르토를 슈라모폰 녹음, 발매하였다. 2007년에는 슈라모폰에서 특별 프로젝트로 스메타나의 오케스트라 작품을 발매하였고, 최근에는 슈라모폰과 체코 라디오의 공동 작업으로 보후슬라프 마르티누의 교항곡 모음집을 발매하였다.
1996년 칸느(MIDEM International Music Trade Fair)에서 음악 비평가 상을 수상하였으며, 유럽 방송 협회(European Broadcasting Union)의 국제적인 음악 교류를 통해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의 음원은 유럽과 세계의 청취자들에게 방송되고 있다.
지휘 _페트르 브론스키 Petr Vronsky
‘대담하고 선이 굵은 지휘자’라는 평을 받으며 풍부한 감성과 퍼포먼스에 대한
뛰어난 감각을 지닌 지휘자
2011년 프라하 방송교향악단을 이끌고 내한하는 지휘자 페트르 브론스키는 작품 해석에 있어서 굉장한 분별력이 있으며, 감성이 풍부하여 퍼포먼스에 대한 감각을 가진 세계적인 지휘자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1964년 베토벤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이름을 날리다가, 1971년 필스너 오페라에서 지휘를 시작하였다. 오래 지나지 않아 1971년 브장송, 1973년 카라얀 지휘 대회에서 성공을 거두고 1978년 전문적인 지휘자가 되었다.
1983-1991년 브르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 활동하는 등 지휘에서 빼어난 감각을 보였으며, 1983년부터 브르노의 야나첵 아카데미에서 지휘를 가르치고 있다. 2002-2005년에는 오스트라바의 야나첵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서 야나첵 필하모닉을 일본, 스페인, 오스트리아, 독일, 폴란드 등으로 이끌었다.
2005/2006 시즌부터 그는 모라비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명예 수석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또한 프라하 음악원(Musical Faculty of the Academy of Performing Arts in Prague)의 조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지휘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객원 지휘자로서 앤트워프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베를린 심포니, 이스탄불 주립 심포니, 도쿄 메트로폴리탄 오케스트라, 리우데자네이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뮌헨 방송교향악단, 상트 페테르스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을 이끌었다. 또한 체코 필하모닉과 프라하 심포니 오케스트라, 체코 방송교향악단과 국내외의 오페라단(프라하 국립극장, 프라하 주립 오페라극장, 야나첵 오페라, 틸 극장 등)과 협연하였다.
그는 클래식, 현대곡, 오페라, 교향곡 등 200곡이 넘는 레파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퍼포먼스와 뛰어난 감각을 지닌 세계적인 지휘자로 여겨지고 있다.
Piano_ 콘스탄틴 쉐르바코프 Konstantin Scherbakov
‘살아있는 라흐마니노프’라는 칭송을 받으며 끊임없이 놀라운 연주실력으로
세계인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피아니스트
고도의 기교를 요하는 레파토리를 전문적으로 다루며 끝없는 레파토리를 완성해가는 연주자
2010년 5월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내한 첫 연주회를 성황리에 마친 콘스탄틴 쉐르바코프는 차이코프스키 협주곡 이후, 최근 라흐마니노프 2번, 3번 협주곡 음반 발매를 한 콘스탄틴 쉐르바코프는 끝없는 레파토리를 완성하여 계속해서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다.
연주할 수 없는 곡이라 치부될 만큼 고도의 기교를 요하는 레파토리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쉐르바코프는 "살아있는 라흐마니노프"라고 불리기에 이르렀다. 또한 리스트 편곡의 베토벤 협주곡 연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거의 연주되지 않지만 수요는 높은 어려운 곡들을 연주해내며 이 아티스트는 자신만의 특별한 레파토리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런 면들은 최근 "Fono Forum", "Record Geijutsu Tokyo", "Spiegel magazine" 등에서 다뤄졌다.
EMI에서 데뷔-시리즈를 계약한 첫아티스,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선정’(1995년 BBC선정)
쉐르바코프는 EMI에서 데뷔-시리즈를 계약한 첫 아티스트이며, 1995년 "BBC선정, 세계적인 아티스트"에 선정되었다. 지난 시즌 쉐르바코프는 쾰른 필하모니 홀, 뮌헨 Herkulessaal, 취리히 Tonhalle, 뮌헨 Prinzregententheater, 스튜트가르트 Liederhalle, 루체른 Congress-Hall 등에서 연주했다. 뮌헨 심포니와 스튜트가르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도 협연했다.
쉐르바코프는 협연자로서 예카테린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독일, 스위스 투어에 함께했으며, Milano Orchestra I Pomeriggi Musicali의 이탈리아 투어에서 협연자이자 지휘자로 활동했다.
그는 또한 스웨덴 스톡홀름, 독일 프라이부르크, 베를린, 일본 도쿄, 스위스 취리히, 이탈리아 시칠리아부터 폴란드까지 세계 각지에서 리사이틀을 가졌다.
쉐르바코프는 최근 리스트 편곡의 베토벤 협주곡 1번과 3번을 포함한 음반을 발매했다. 또한 무려 6장짜리의 방대한 프로젝트로, 고도브스키의 소나타 전곡을 완성했다. 이 음반은 2001년 12월 Preis der Deutschen Schallplattenkritik(독일 음반 비평가 상)에서 수상하였다. 같은해 그의 쇼스타코비치 24 프리류드와 푸가 음반은 Cannes Classical Award 2001(깐느 클래식 어워드)에서 수상하였다. - 이로부터 3년 전에는 아쉬케나지, 브렌델 등이 이 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가졌었다.
2002/2003 시즌에는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전곡을 러시안 스테이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연주하여 영국에서 투어를 가졌었고, 이스라엘 하이파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아레나 디 베로나 오케스트라, 에네스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도 협연했다. 모스크바의 러시안 스테이트 아카데믹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라흐마니노프, 차이코프스키 협주곡 전곡을 녹음했다.
제1회 라흐마니노프 콩쿠르 우승(1983년)
Barnaul에서 태어난 쉐르바코프는 그의 나이 11세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며 데뷔했다. 곧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전설적인 교수인 레프 나우모프의 지도하에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바토리를 졸업하였다. 그 후 세계적으로 명망 높은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소비에트 유니온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들과 연주하였고, 러시아내에서 100회 이상 리사이틀을 가졌다. 1983년 ‘제 1회 라흐마니노프 콩쿠르’에서 의기양양하게 우승을 하며, 쉐르바코프는 그의 업적을 이어나갔다. 제 20회 아솔로 챔버 뮤직 페스티벌에서 네 번의 리사이틀을 가지며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솔로곡 전곡을 연주하였고,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의 인정을 받았다.
1992년 이후로 쉐르바코프는 그의 가족과 함께 스위스에 살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보덴제, 루체른, 루르 피아노 축제, Bad Kissingen, Schubertiade Feldkirch 등의 대표적인 축제에 참가하며 ARD, SF, Radio France, DRS 2, BBC 등 라디오, 티비 방송에도 출연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를 누비며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고 리사이틀도 갖고 있다.
1998년부터 Hochschule fur Musik Winterthur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콩쿠르의 심사위원이기도 하다.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뉴질랜드, 싱가포르, 쿠바, 일본 등에서 계속해서 그에게 마스터 클래스를 요청해오고 있다.
2005년 8월 짤츠부르크 페스티벌에 출연했고, 굉장히 열광적인 반응을 받았다. 2005년 8월 10일 비엔나의 Die Presse에는 "누구도 이보다 더 쇼스타코비치를 잘 연주할 수 없다"고 했다.
- PROGRAM -
5월 31일(화)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Smetana - Moldau(Vltava)
스메타나 - 나의 조국 중 ‘몰다우’
Rachmaninoff - Piano concerto No.2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제2번
Dvorak -Symphony No.8
드보르작 - 교향곡 8번
6월 1일(수) 오후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Mozart - Figaro, overture
모차르트 - 피가로결혼 서곡
Beethoven - Piano concerto No.5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Tchaikovsky - Symphony No.5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5번